그룹명 (2718)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왕릉에서 세조와 단종을 기린다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소장 나명하)는 오는 10월 2일과 3일 각각 남양주 광릉(光陵)과 영월 장릉(莊陵)에서 ‘조선왕릉 제향’을 봉행한다. 왕릉 제향은 역대 제왕과 왕후의 기일에 지내는 추모제사인 기신제향(忌辰祭享)으로, 이번에 진행되는 세조와 단종의 제향은 누구나 참여하여 .. 장례식 문상시 ‘옷차림’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 통계산출 이후, 사망자수 역대 최고 수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사망자수 26만 7천 221명으로 전년대비 9,825명(3.8%)으로 6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1983년 사망원인통계 산출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망률(인구 10만명당) 530.8명, 전년대비 3.3% 증가 했으며, 1일 평균사망자수는 730명 이.. 죽음에 대한 교육과 준비과정 ‘프리니드(Pre-need)’ 현재 우리나라는 신생아수가 감소하면서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고 있다. 과거에 비해 먹거리가 풍성해지고 사람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더 나아가 안락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웰다잉(well-dying)’까지 주목 받기 시작했다. 사람은 누.. 보람상조, 슈퍼갑의 횡포 최근 ‘갑’의 지위를 이용해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킨 ‘남양유업’에 대해 정부가 고강도의 제재를 내린바 있다. 그동안 ‘갑’과 ‘을’의 관계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갑’과 ‘을’의 피해를 공공연하게 세상에 알린 것은 남양유업이 시초였던 것 뿐이었다. 그런데 상조업.. 세계문화유산 ‘서울 정릉의 재실 복원’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소장 나명하)는 1970년대 소실된 서울 정릉(貞陵) 재실(齋室, 제사를 준비하고 왕릉을 관리하던 영·令과 참봉·參奉 등이 쓰던 건물)을 복원한다. 2012년 발굴조사 결과, 서울 정릉 재실 터는 재실 본채, 제기고(祭器庫), 문간채, 협문(3개소) 등의 건물지와 담장, .. 북한의 장례문화 북한의 장례는 거의가 3일장이다. 혁명 1세대 등의 고위 간부 사망 시에 치러지는 국장(國葬)도 거의 마찬가지다. 92년 2월에 사망한 인민 무력부장 오진우(吳振宇)외 서철(徐哲)등이 5일장으로 치러졌고 김일성의 경우는 12일장으로 치러진 예외의 기록도 있었다. 북한에는 장의사가 없으.. 조선시대, ‘임금’의 국장절차 왕실의 장례 절차는 일반 장례 절차와는 다르게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게 진행된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따르면 왕이 승하한 후 3년에 걸쳐 총 60 단계가 넘는 절차를 밟아야 긴 국상의 예가 끝을 맺는다. 이 중 왕이 승하한 순간에서 시작하여 능에 왕의 관인 재궁을 내리는 과정.. 이전 1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 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