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2014년 귀농․귀촌 전년에 비해 1.4배 증가

2014년 귀농․귀촌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 귀농귀촌가구는 44,586호(80,855명)로 전년대비 1.4배 유입 했으며, 최근 3년간 증가폭이 확대되는 추세로써 40대 이하 젊은 층 귀농귀촌 증가율(43.0%)이 평균 증가율(37.5%)보다 높게 나타나 귀농귀촌이 베이비부머 이외 세대로 확산 경향을 보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4년 귀촌가구는 33,442호(61,991명)로 전년대비 1.5배 이상 유입(12천여 가구↑) 되었고, 3년간 증가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40대이하, 50대의 순으로 높고, 증가율은 40대 이하(62.6%↑)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귀촌은 경기가 가장 많으나 비중(30.3%)은 감소세인 반면, 제주(1,649.0%↑)전남(267.0%↑)경북(137.4%↑)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귀농가구는 11,144호(18,864명)로 최근 3년 연속 1만 가구 수준 유지하고 있으며, 50대 가구가 4,409호(39.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40대이하가 3,698호(33.2%)로 그 뒤를 이었다.

 

다만, 30대 이하 귀농인은 전년에 비해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는 농지가격 상승(전년대비 16.38%↑) 등 귀농 비용 증가는 경제력이 열악한 30대 이하의 귀농에 제한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가업 승계농 증가 등으로 귀농가구 중 기존 농촌가구에 세대 편입하는 경우가 13.3%로 전년대비 0.8%p 증가했다.

 

 

 

귀농지역은 귀촌과 달리 영농여건이 양호하고 농지 등 초기투자비용이 적은 경북, 전남, 경남 3개 지역(48.3% 점유)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0대 이하 젊은 층의 귀농이 전남, 전북에 집중되는 경향이 높았다.

 

평균 경작면적은 0.45ha로 전년과 비슷하며, 작물별로는 채소(43.5%), 과수(33.8%), 특용, 두류, 논벼 순이었다.

 

수도권 인접지역에 집중되었던 귀농귀촌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비교적 젊은 연령층이 가세하면서 동기도 다양화 되었다. 이는 은퇴 후 여생을 위한 경기도권 중심에서 경제 활동, 자연친화적 삶, 자녀교육 등에 적합한 지역으로 귀농귀촌지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귀농귀촌 2~3년 경과 후에도 귀농귀촌 가구의 98%가 농촌생활을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당초 이주지역에서 귀농귀촌 유지하는 비율이 89.3%이며, 다른 농촌 지역으로 재이주 한 경우가 8.8%로 재이주 사유는 작목 변경, 생활환경 문제, 지역주민과의 갈등, 지원정책, 귀농귀촌인이 많은 지역으로의 이주 등으로 나타났다.

 

도시 역귀농·귀촌은 1.9%로 나타났으며, 그 사유는 농업노동의 어려움, 지역주민과의 갈등, 외로움·고립감, 자녀교육 순이었다.

 

인구사회적 흐름, 경제적 여건, 농업농촌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을 고려할 때 귀농귀촌 증가세는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시사상조신문 www.sisasangj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