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경찰청 공동 인터넷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 개최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경찰청(청장 이철성)은 온라인 상의 자살유해정보를 집중 모니터링하여 총 12,108건의 유해정보를 발견하고, 그 중 5,596건(46.2%)을 삭제 조치하였다.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자살예방센터의 「자살유해정보 모니터링단 “지켜줌인”」과 경찰청의 「사이버 범죄 모니터링단 “누리캅스”」는 지난 7월 12일~25일 2주간 “2017년 인터넷 자살유해 정보 신고대회”를 공동 개최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자살유해정보의 내용은 자살을 부추기는 내용(6,245건, 51.6%), 동반자살 모집(2,413건, 19.9%), 자살방법 안내(1,667건, 13.8%), 독극물 등 자살도구 판매(1,573건, 13.0%),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 게재(210건, 1.7%) 등 이었다.
주로 SNS(3,928건, 32.4%), 온라인커뮤니티(3,911건, 32.3%), 포털사이트(2,717건, 22.4%) 등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자살예방센터는 지난 5월 모니터링단(단장 강지원 변호사)을 대폭 보강하여(2016년, 150명 → 2017년, 348명)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약 33% 많은 자살유해정보를 발견하였다.
특히, 독극물 등 자살도구 판매(125% 증), 동반자살 모집(83% 증) 관련 정보의 신고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자살유해정보의 내용별로 “자살을 부추기는 내용”은 포털·커뮤니티, “동반자살 모집”은 SNS, 자살방법 안내는 커뮤니티에서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자살예방 미디어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서강대 유현재 교수) 국민의 62%는 “일부 SNS의 자살관련 콘텐츠가 자살을 희화화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SNS의 자살관련 콘텐츠가 “생생하다”(48.8%) 또는 “사실적이다”(48.8%)라고 느끼는 비율이 높아 온라인에 유통되는 자살관련 정보가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응답자의 51.5%는 SNS의 자살관련 콘텐츠가 증가하지 않도록 규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책임을 맡은 서강대학교 유현재 교수는 “SNS를 통해 특히 위험한 동반자살 정보가 빈번하게 유통되고 있는데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안타깝다”며, “복지부가 경찰과 보다 긴밀한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트위터 등 SNS 운영업체들의 자발적인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자살유해정보 발굴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한승배씨(남자, 52세)와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 수기 공모전에서 선정된 민상은씨(여자, 24세)에게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고등학교 교사인 한승배씨는 십여 년 전 제자가 인터넷 사이트에서 만난 사람들과 함께 죽음을 선택했던 경험 이후,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청소년 유해정보를 검색하여 신고하는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다.
한 씨는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어린 청소년들이 ‘죽고 싶다’, ‘수면제 구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등의 글을 올리는 것을 보며 교사로서 더욱 마음이 아프고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며, “작은 마우스 클릭 하나하나가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길이라는 소명의식을 갖고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민상은씨(여자, 24세)는 열 여섯살에 아버지를 자살로 잃은 자살유가족이다.
민 씨는 “익명성을 보장하고 폐쇄적인 커뮤니티에서 활발하게 자살정보가 오가고, SNS를 통해 은밀하게 동반자살을 모집하는 것을 보고 무서운 생각마저 들었다”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살신호를 보내는 이들을 빠르게 알아차리고 도움의 손길과 따뜻한 말 한 마디를 건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사상조신문 www.sisasangjo.co.kr >
'그룹명 > 장례·장묘·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자,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온라인 신청 가능 (0) | 2017.08.31 |
---|---|
대구지방경찰청, 「변사자 유품함」제작 활용 (0) | 2017.08.30 |
위안부 피해자 고 하상숙 할머니 사망 (0) | 2017.08.28 |
서울시, 용미리묘지에 미술 조형벽 조성 (0) | 2017.08.22 |
무연고 사망 및 고독사, 중년층 가장 많아 (0) | 2017.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