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경제

정부, 1조원 투자…한국형 ‘인공지능’ 만든다

언어·시각·공간지능 등 5개 분야 집중 육성

 

정부가 최근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국을 계기로 전국민적 관심사로 부상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오후 청와대로 AI 및 소프트웨어(SW) 관련 기업인과 전문가 20여명을 초청해 ‘지능정보사회 민관합동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진형 SW정책연구소장과 김대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등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AI 기술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사람 중심의 실용적 접근과 우리가 보유한 ICT 분야의 강점과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능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른 중장기 영향의 분석 필요성과 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

 

 

 

지능정보는 인공지능보다 넓은 개념으로 인공지능의 ‘지능’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정보’ 기술 분야까지 포함한다.

 

이 자리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지능정보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미래부는 연구개발, 전문인력 확충, 데이터 인프라, 산업 생태계, 융합산업 육성 등에 향후 5년(2016~2020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한다. 2조5000억원 이상의 민간 투자도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민·관이 함께 국가 연구 역량과 데이터를 하나로 결집할 기업형 연구소 형태의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했다.

 

전자제품 제조사인 삼성전자·LG전자,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과 KT,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6개 기업이 연구소 설립에 참여하기로 했다. 연구소는 참여 기업들이 30억원씩을 출자해 총 연구인력 50명 안팎의 규모로 문을 열 전망이다.

 

연구소는 민간기업이 출자해 설립·운영하면서 정부가 플래그십(대표) 프로젝트 등 핵심 연구개발(R&D) 추진을 위한 연구비를 지원하는 형태로 돌아간다.

 

연구소의 역할은 지능정보기술의 R&D와 사업화, 지능정보산업을 위한 데이터 결집·협업 등으로 핵심 지능정보기술을 확보하면서 이를 산업 분야에 상용화할 응용기술 연구도 병행하게 된다.

 

연구소는 언어지능, 시각지능, 공간지능, 감성지능, 요약·창작지능 등 5개 분야 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을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정해 집중 연구한다. 응용 분야 외에 지능정보기술 발전의 기반이 될 수퍼컴퓨터, 신경칩, 뇌과학·뇌구조, 산업수학 등 기초학문 분야에 대한 연구도 정부가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언어·시각·공간·감성지능, 스토리 이해·요약 등 연구를 플래그쉽 프로젝트로 지원해 세계 지능정보기술 시장 선점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연구소를 중심으로 데이터 인프라 구축도 진행된다. 정부·기업·연구소 등이 각각 구축한 데이터의 공유·이용을 촉진해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는 의료·문화·금융 등 분야별 국내 민간·정부가 보유한 데이터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 정보 서비스를 추진하고 언어·시각·감성 등 지능 분야별 연구용 데이터 베이스, 전문가 시스템 개발 지원을 위한 전문지식 DB(의료·법률·특허 등)를 구축해 공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컴퓨팅 자원, 지능정보 SW(언어·시각지능 등), 전문지식 DB를 활용한 전문가 시스템 등 산업 인프라를 갖추고 이를 벤처기업 등에 제공한다. 코리아 IT(정보기술) 펀드(KIF) 등을 활용해 지능정보기술 분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데이터분석 전문가, 인공지능 SW 개발자 등 새롭게 수요가 창출될 전문인력을 선제적으로 양성해 전문인력의 저변을 확충할 계획이다.

 

<시사상조신문 www.sisasangj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