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장례·장묘·추모

장례식장 ‘물품 강매’ 때문에 평균비용 올라

 

 
우리나라에 ‘장례문화’는 ‘두레문화’에서 시작되었다. 농촌에서 농사의 공동 작업을 위해 마을이나 몇 개의 두럭 단위로 만든 집단이며, 우리 전통 농경사회의 공동체 정신이 가장 잘 드러나는 생활양식이다. ‘두레’는 말 그대로 작업 공동체의 시작으로 상부상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장례문화’ 또한 마을 이웃이 모두 모여 공동체로 진행되었다.
 
시대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농경사회가 점차 줄어들고 도시화 됨에 따라,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핵가족화 현상이 진행되며, ‘두레문화’는 점차 사라져갔다, 이웃, 가족에 구성원이 적어지면서, 점점 상을 치루기 힘들어졌으며, 장례행사를 전문으로 하는 전문장례식장이 생겨났다.
 
불과 20~30년 전만해도 대부분의 장례는 집안에서 치러졌다. 당시에는 집밖에서 죽는 것을 무척이나 꺼려했다. 죽음이 임박해 오면 곧장 집으로 모시고와 임종을 지켜봤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대에는 집안이 아닌 집밖의 장례식장에서 장례가 치러진다. 이유는 편의성 때문이다. 장례절차에 대한 지식이 없어, 복잡한 장례절차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우후죽순처럼 난립한 병원장례식장 및 전문장례식장은 장례에 대한 정보가 없는 유가족들에게 장례물품강매, 관·수의 비용 바가지, 수시비용, 노잣돈요구, 영구차 운전사의 개인 밥값요구 등 부당요금을 청구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슬픔에 잠긴 유가족을 상대로 폭리를 취하는 장례식장에 횡포에 소비자들은 강한 반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에 따른 한국소비자원은 지속적인 장례식장에 피해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균 장묘비용은 매장의 경우 1600만원, 화장 후 납골당을 이용할 경우에는 1200만원이 소요되며, 이 같은 장례비 지출에 대하여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묘비용은 장례식장 시설물 이용비, 조문객 접대비(음식비 등) 등 장례비용이 900만원이고, 매장을 위한 묘지구입비 및 석물비용을 포함 약 700만원 등 평균 1600만원 소요되며, 화장한 후 납골당 안치비용은 약 300만원으로 장례식장비를 포함해 평균 1200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례를 치루기 위해 많은 목돈이 필요한 이유는 따로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장례를 간소하게 치르기를 원하지만, 장례 및 장묘 관행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형식주의, 상업주의와 아직도 남의 눈을 의식한 ‘체면, 겉치레’ 소비관행 장례식장에 영업 관행처럼 남아있는 ‘장례물품 강매’ 때문에 장례 평균비용이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는 장사법 일부개정법률은 장례용품 구매 강요 행위 금지하고, 장례식장 규제를 강화한 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는 관행을 뿌리 뽑아야 한다.
 
‘장묘’로 발생하는 장례비용 또한 경제적 부담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손들의 사후관리 미흡으로 생겨나는 무연고묘지가 증가함에 따라 ‘매장’을 할 수 있는 토지가 부족해 묘지사업자 횡포로 높은 묘지비용을 요구해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장묘’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토잠식 예방하고, 사후관리의 벌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대처방안으로 화장 후 유골을 강, 산, 바다 등 모든 곳에 뿌릴 수 있는 개념을 뜻하는 ‘산골방법’ 확산이 필요하다. ‘산골’은 국토잠식과 자연경관 훼손 염려가 없고, ‘산골공원’을 설치할 경우 시설비용이나 납골당 이용비용 등이 절감된다.
 
이와 관련해 장사 등에 관한법률 등 관련법규에는 ‘산골’ 제도방법 조항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또 국민들의 사이에서 ‘산골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유골을 뿌리는 경우는 악상인 경우에 처리하는 방법이다’라는 등 잘못된 인식으로 인하여 활성화 되지 않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에 따른 ‘산골장소기준’ 등 관련조항을 마련하고, 장례의 참뜻을 살리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여 간소하게 장례를 치를 수 있는 국민의식을 개선해야 한다. 간소한 장례문화 형성과 ‘산골장례문화’ 확산을 위하여 지속적인 홍보, 교육, 캠페인 등이 필요하다.
 

<시사상조신문(www.sisasangjo.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