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인 미만 중소 사업체는 직원을 뽑을 때 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상용 근로직(정규직)’을 원하는 반면, 300인 이상 사업체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계약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정보사이트 ‘워크넷’에 등록된 구인통계를 분석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구인 업체들이 지난해 워크넷에 등록한 구인 인원은 모두 251만 명이었다.
이 가운데 근로자 300인 미만 규모의 중소 사업체가 올린 구인 인원 비중은 87.1%(218만 7천 명), 300인 이상의 사업체의 비중은 12.9%(32만 3천 명)였다. 구인 업체들이 직원을 채용할 때 선호하는 근로형태를 살펴보면 사업체 규모별로 차이를 보였다.
300인 미만 중소 사업체에서는 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상용 근로계약(정규직)’을 더 많이 원했고,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계약직 고용형태를 선호했다.
구체적으로 50~300인 미만 사업체는 구인 인원의 73%를 정규직으로 뽑고 싶어 했고, 계약직 비중은 20%에 그쳤다. 반면에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에서는 계약직 구인 비중이 52.7%로 가장 많았고 정규직은 40.3%였다.
워크넷 구인통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난 ‘중소기업은 정규직, 대기업은 계약직 선호’ 현상은 “비정규직은 대부분 중소기업이 고용하고 있다”는 기존 통념과 대비된다.
박세정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대기업의 계약직 선호 추세는 최근 ‘정년연장, 통상임금’ 도입에 따라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대기업은 근속 기간이 길수록 임금을 많이 받는 ‘임금체계 연공성’이 중소기업보다 강한데다 내년부터 정년 60세가 의무화되기 때문에, 임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계약직 채용을 계속 선호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연구원은 “경직되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대기업이 비용부담 등을 이유로 비정규직 채용을 선호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과도한 비정규직 고용 관행은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사회 안정을 위해서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용정보원은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의 정부3.0 취지에 맞춰 워크넷에 올라온 구인구직 정보를 분석한 자료를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고용정보원 홈페이지(www.keis.or.kr)의 ‘고용DB분석 > 구인구직통계’에 들어오면 2005년부터 현재까지 워크넷의 구인구직 통계 및 취업동향 정보를 확인하고 내려 받을 수 있다.
<시사상조신문 www.sisasangjo.co.kr >
'지역·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의 중소기업, ‘자산매입 후 임대’제도로 기사회생 (0) | 2015.05.18 |
---|---|
4월 전월세 거래량 지난해에 비해 19.6% 감소 (0) | 2015.05.14 |
안심전환대출자 80%가 연소득 6000만원 이하 (0) | 2015.05.13 |
경제 완만한 개선 흐름…경기회복 긍정적 (0) | 2015.05.12 |
4월 자동차 내수판매 증가, 수출은 감소 (0) | 201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