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업체

정치인 및 공직자가 꼭 가야할 여행지 ‘청렴벨트’

박수량 선생 백비

 

아곡 박수량(1491∼1554) 선생은 공직자이면서 정치인으로 살았다. 그는 38년 동안 고위 관직을 지내면서도 뇌물을 받지 않았다. 접대는 커녕 술 한 잔 얻어 마시지 않았다. 부정한 뒷거래도 없었다. 그 결과 청백리(淸白吏)의 표상이 됐다. 많은 공직자와 정치인이 부정·부패와 연결되고 심지어 비리의 온상이 되고 있는 지금, 그가 떠오르는 이유다.

 

청백리 뿐 아니다. 국민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푸른 숲을 가꾼 춘원 임종국(1915∼1987) 선생도 있다. 그는 1950년대 중반부터 21년 동안 축령산 황무지에 나무를 심었다. 수십 년, 수백 년 앞을 내다보고 나무를 심은 선생의 의지와 열정이 지금의 치유의 숲을 만들어냈다.

 

호남 유학의 거두였던 하서 김인후(1510∼1560) 선생과 봉건제도에 맞서 만민평등의 이념으로 이상국을 건설한 홍길동도 장성과 엮인다. 동학농민군이 정부에서 파견한 경군에 맞서 처음 승리한 격전지도 장성이었다.

 

 

 

황룡전적지기념탑

 

이 지역이 청렴벨트를 이룬다. 청렴벨트는 필암서원에서 황룡전적지 기념탑과 홍길동테마파크, 백비를 거쳐 축령산 자연휴양림으로 이어진다.

 

필암서원은 하서 김인후 선생과 그의 제자 고암 양자징을 배향하고 있는 곳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도 피해를 보지 않아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황룡전적지는 1894년 반봉건·반외세를 기치를 내건 동학농민군이 처음으로 관군을 격파했던 곳. 이 승리로 동학농민군은 관군보다 먼저 전주를 점령하며 역사상 유례없는 농민통치의 기반을 마련했다.

 

홍길동테마파크는 황룡면 아곡리에 있다. 허균의 소설에 등장하는 의적 홍길동의 생가가 고증을 거쳐 복원돼 있다. 세상의 차별과 불의를 견딜 수 없어 집을 떠나 의적이 된 홍길동의 일대기도 살필 수 있는 전시관도 있다. 활빈당원들의 산채와 망루, 의적의집, 당수의집도 재현돼 있다.

 

축령산 편백숲

 

지척의 금호리에서 만나는 백비(白碑)는 아곡 박수량 선생의 묘비다. 청백리의 상징이 된 이 비석에는 고인의 이름과 직위는 물론 그럴싸한 업적 한 줄도 새겨져 있지 않다. 선생은 조선 성종 22년 장성 황룡에서 태어나 24살 때 과거에 급제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병조참지, 동부승지, 호조참판, 예조참판, 형조참판, 우참찬, 좌참찬, 호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그럼에도 청빈했다. 얼마나 청빈한 삶을 살았는지 일화도 전해진다. 그의 청빈한 삶을 전해들은 명종이 암행어사를 두 차례나 보냈는데, 변변한 집 한 채 없이 가난하게 살고 있다는 보고만 들어왔다. 그의 유품도 임금이 하사한 술잔과 갓끈이 전부였으며, 집안에 장례 치를 비용도 없었다고 한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명종이 장례비용과 함께 비석으로 쓸 만한 돌 하나를 하사했다. 그러고선 “빗돌에다 새삼 그의 청백한 삶을 쓴다는 것이 오히려 그의 청렴을 잘못 아는 결과가 될지 모른다”면서 “비문 없이 그대로 세우라”고 했다. 어설픈 글로 비문(碑文)을 새기는 게 오히려 선생의 생애에 누(累)가 되지 않을까 염려해서였다. 보잘것없는 공이나 직위일지라도 크게 치장하는 요즘 세태에 이름 하나 남기지 않은 백비가 더 귀하게 다가온다.

 

 

 

홍길동테마파크

 

추암마을에선 후세에 숲을 남긴 ‘조림왕’ 임종국 선생을 만난다. 선생은 일찍이 숲의 가치를 알고 1956년부터 황무지였던 축령산에 나무를 심었다. 멀쩡한 나무까지도 베어 땔감으로 쓰던 때인지라 임업에 대한 그의 투자는 웃음거리였다. 하지만 그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날마다 나무를 돌보고 숲을 가꾸는 데만 신경을 썼다. 숲을 가꾸면서 재산을 다 날린 것도 부족해 빚까지 안게 됐다. 결국 더 이상 빚을 감당할 수 없게 된 그는 숲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고 세상을 떠났다.

 

선생이 가꾼 축령산은 수십 미터씩 뻗은 편백나무와 삼나무, 잎갈나무, 잣나무로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드넓은 연녹색에 눈이 시원해지고 머릿속까지 상쾌하게 해주는 숲이다. 마음 속 갈증까지 후련하게 풀어주는 보약 같은 숲이다. 느슨해진 삶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 싶을 때 큰 힘 얻을 수 있는 귀한 숲이다.

<시사상조신문 www.sisasangj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