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감소 및 10∼12월 증가, 남성은 감소·여성은 증가
코로나19 대응 위해, 긴급 민생·경제 지원과 함께 심리지원 등 강화 추진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19년 자살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과 관련하여, 이에 따른 대책을 보완해 나감과 동시에 코로나19에 따른 자살위험 증가 우려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19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19년 자살사망자는 1만 3799명으로, 2018년보다 129명 증가(0.9% 증가)하였으며,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자 수)은 26.9명으로 0.9% 증가(’18년 26.6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까지 발표된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자살사망자 수(잠정치, 8월 공표 기준)는 6,278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약 7.4% 내외 감소(약 502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살은 사회 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주된 요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
다만, 지난해 10월부터 자살 사망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아, 유명 연예인의 자살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항목별 세부자료) 등이 확정되는 대로 심층 분석할 계획이다.
반면, 지난해 하반기를 제외하면 올해 상반기까지 다소 감소 추세*에 있어, 자살 고위험시기(3~5월) 집중관리 등 자살예방을 위한 노력이 일정 부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소상공인 긴급 피해지원, 고용안정 및 청년구직 지원, 긴급 생계 및 돌봄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 정보 등을 홍보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 우울(블루) 현상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1월부터 ‘통합심리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관계부처와 함께 심리상담 및 휴식·치유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유명인의 자살사망은 고위험군의 자살을 촉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연예계와 협력하여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사전적 예방체계를 보완·구축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자살사망자 수가 줄지 않은 데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다”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자살위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각종 긴급 민생·경제 지원과 함께 적극적 심리방역 및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사상조신문(www.sisasangjo.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그룹명 > 장례·장묘·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시, 1회용품 안 쓰는 장례문화 확산 ‘주력’ (0) | 2020.09.24 |
---|---|
중랑구, 망우리공원에서 유관순열사 순국 제100주기 추모식 (0) | 2020.09.24 |
대전시설관리공단, 대전추모공원 추석연휴 사전예약제 시행 (0) | 2020.09.22 |
보훈처, 추석 연휴 기간 국립묘지 온라인 참배서비스 대체 (0) | 2020.09.22 |
부산백병원, 자살예방의 날 기념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