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와 대한심폐소생협회(이사장 김성순)는 휴가철 물놀이 사고로 인명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어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심폐소생술’을 배워 둘 것을 당부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35명이 물놀이 사고로 사망하였으며 최근 경기도 가평군 가마소계곡에서 20대 박모씨가 물놀이 사고로 숨지는 등 인명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기본적인 안전수칙 준수로 물놀이 사고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겠으나 갑작스레 발생하는 긴급한 상황에 ‘심폐소생술’을 익히고 있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심정지 발생 시 1분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지면 생존율이 97%이지만 1분이 지날때마다 7~25%씩 급격하게 낮아져 4분 경과 시 생존율이 50%미만으로 떨어진다.
물놀이 사고로 호흡이 멈추고 심장이 멎은 환자가 발생하였다면 신속히 인공호흡이 포함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대한심폐소생협회는 심폐소생술 순서로 ▶환자반응 확인 ▶119신고 ▶호흡확인 ▶가슴압박 30회 ▶인공호흡 2회 순으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성인의 경우 가슴압박은 분당 100~120회 속도로 약 5cm를 눌러주고, 소아는 4~5cm정도(가슴두께의 최소 1/3 이상)를 압박하도록 한다.
국민안전처는 “소방서나 보건소에서 수시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휴가 전 가까운 교육장소를 방문하여 심폐소생술을 꼭 배워 둘 것”을 당부했다.
<시사상조신문 www.sisasangjo.co.kr >
'생활·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은 사라진 특이한 올림픽 종목들 (0) | 2016.08.18 |
---|---|
이런 6가지 습관 있으면 빨리 늙는다 (0) | 2016.08.17 |
13~15일 폭염 절정…일부지역 최고 기온 기록할 듯 (0) | 2016.08.12 |
퇴근 후 꼭 챙겨봐야 할 리우올림필 종목 (0) | 2016.08.12 |
젊은 부부 육아고민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16.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