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문화

서울 여성, 재택근무 33.9% 해고·실업 불안감 증가

재택근무 장기화로 임금감소 또는 고용형태 변화 
재택근무로 인해 개인시간 늘어 좋지만, 일과 생활의 분리 어려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코로나 이후 여성의 재택근무·가사·돌봄노동 실태 조사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한지 1년, 국내에도 코로나19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전국에서 '멈춤'이 시작됐다. 입학식도 못한 아이들은 집에만 머물고 직장인들도 근무지에 가기 어려워지며 재택근무가 하나의 대안이 되었다. 

직장에 다니는 여성 A씨도 학교와 유치원에 가지 못하는 아이들과 부대끼며 갑작스럽게 재택근무를 시작했다. 그렇게 한 해를 보낸 지금, A씨의 일과 생활은 온전할까?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백미순)은 3월 8일 세계 여성의날을 맞아 재택근무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가사·돌봄 노동 실태를 조사하고 「성평등 생활사전 재택노동편」 결과를 발표했다. 

재단은 지난 3월 8일(월)부터 16일(화) 온라인 설문조사 ‘코로나 시대의 일과 삶, 성평등 생활사전 재택노동편’을 진행, 총 712명의 시민이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재택근무 이유, 재택근무의 긍정적·부정적인 면, 재택생활 증가에 따른 긍정적·부정적인 면, 코로나 이전과 비교한 돌봄·가사노동 경험 등을 물었다.

 

 


여성이 재택근무를 하게 된 이유로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에서 일괄적(전직원/순번제 등)으로 실시(72.5%)가 가장 많았고 ▲업무 특성상 코로나 이전부터 실시(11.2%) ▲임산부, 고위험군, 자가격리 등 의무적 실시(7.7%)가 뒤를 이었다. 

재택근무를 하면서 느낀 장점으로는 ▲출퇴근 시간이 줄어 개인시간 증가(18.8%) ▲화장·옷차림 등 꾸밈노동 감소(18.6%) ▲코로나19 등 전염병 감염 위험 감소(17.2%) 순으로 꼽았다. 응답자 12.4%는 ‘유연한 시간 관리로 일·생활 균형이 가능해졌다’고 답했다. 
 
재택근무의 단점을 묻는 질문에는 ▲일과 생활공간 분리의 어려움(27.6%)이 가장 높았으며 ▲업무시간과 휴게시간 관리의 어려움(19.6%) ▲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움(18.7%) 순으로 응답했다. 

이밖에도 재택근무가 장기화되면서 고용과 관련해 응답자 중 33.9%가 해고·실업에 대한 불안감을 느꼈으며, 31.5%가 임금감소 또는 고용형태가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가 변화했다고 응답한 75명 중 67명은 비정규직화되었으며, 일부는 사직(2명)하거나 사직권유(1명)도 받은 것으로 응답했다.

코로나19 이후 응답자 96.0%가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불필요한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33.5%) ▲동거가족과 대면시간이 늘어 친밀감 증가(24.9%) ▲가사에 관한 관심으로 주거환경 개선(19.0%)을 긍정적인 점으로 꼽았다. 

반면,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느낀 부정적인 점으로 ▲가사 및 돌봄에 대한 부담 증가(27.7%) ▲외부·신체활동 축소로 인한 건강 악화(26.5%) ▲인간관계 단절로 인한 우울감 증가(20.2%) ▲층간소음, 좁은 집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19.7%)라고 답했다. 

응답자 중 46.3%가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여 돌봄·가사노동 시간이 1시간 미만으로 증가하였다고 답했으며, 1~2시간 증가가 18.5%, 2~3시간 증가가 14.9%, 3시간 이상 증가는 16.3%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 돌봄·가사노동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으로 ▲일과 돌봄· 가사 병행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37.2%) ▲돌봄·가사노동의 필요와 요구 증가(30.9%) ▲가족 또는 동거인 간의 갈등(15.5%)을 차례로 꼽았다. 

응답자들은 코로나 시대 일터와 집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돌봄·가사 노동의 비중이 커지면서 생기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긴급돌봄 등 돌봄서비스 대상과 인력, 시간의 확대(151명) ▲재택노동도 일이라는 인식을 확산하자는 인식개선 요구(79명) ▲집에서 일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지원(76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도 코로나로 인한 우울감 등을 치유하기 위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등 건강 서비스 지원에 대한 요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성평등 생활사전 재택노동편’에 의견을 제안한 712명 중 연령대는 30대(41.2%)가 가장 많이 참여했고, 40대(32.6%), 20대(12.2%)가 그 뒤를 이었다. 노동형태별로는 임금근로자가 75.0%로 가장 많았고, 프리랜서가 19.9%, 자영업자가 3.7%였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1908년 여성 노동자들의 노동환경 개선과 참정권을 요구하는 노동운동을 계기로 시작된 ‘3·8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2013년부터 매년 노동, 안전, 여성정책 등 주요 이슈를 논의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의 의견을 듣고 서울시 여성 정책을 위한 제언으로 활용해 왔다.

이번 코로나 시대 여성의 재택노동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 참여자 중 75.0%가 임금노동자이나 재택근무가 장기화되면서 임금감소 및 고용형태가 변화(31.5%)한 것으로 나타나 여성들의 고용안정 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재택노동이 업무와 돌봄·가사노동의 병행으로 과도한 노동이 되지 않기 위하여 일·생활 균형을 보장하기 위한 재택노동 가이드라인 마련 및 코로나 블루에 대응하는 심리상담 지원 등의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백미순 대표이사는 “이번 시민 조사를 통해 코로나 시대 여성들이 겪고 있는 재택노동의 실태를 시민과 공유하고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개선 및 성평등한 직장문화 실천과 코로나로 인해 더욱 악화된 여성 노동자들의 고용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일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시사상조신문(www.sisasangjo.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